안녕하세요
데이터통신 6장 연습문제 정답 본문
01. 일반 가정에서 전화선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또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원래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장비는?
a. 모뎀(MODEM)
b. ETC
c. 코덱(CODEC)
d. PCM
02.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데이터의 디지털화(digitization)라고 한다.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기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 PCM(Pluse Coded Modulation) 방식인데 이 PMC 과정을 맞게 나열한 것은?
a. 아날로그 신호 -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 디지털 신호
b. 아날로그 신호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디지털 신호
c. 아날로그 신호 -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디지털 신호
d. 아날로그 신호 - 양자화 - 부호화 - 표본화 - 디지털 신호
03. PCM 과정을 거쳐 수신측에 도달된 디지털 신호는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 변환 과정을 맞게 나열한 것은?
a. 재생 - 복호 - 재구성
b. 복호 - 재구성 - 재생
c. 재생 - 복호 - 재구성
d. 복호 - 재생 - 재구성
04.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Codeer)와 디지털 신호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로 '변복조기'라는 말로 풀이되는 장치는?
a. 코덱(CODEC)
b. 모뎀(Modem)
c. 전처리 장치(FEP)
d. 통신 제어 장치(CCU)
05. 디지털 데이터의 아날로그 부호화 방법이 아닌 것은?
a. 진폭편이변조(ASK)
b. 진폭변조(PM)
c. 주파수편이변조(FSK)
d. 직교진폭변조(QAM)
06. 디지털-아날로그 부호화 방법 중에 위상변조와 진폭변조의 복합형태로 캐리어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2진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a. ASK
b. PSK
c. FSK
d. QAM
07. 다음 신호변환장치들의 전송신호와 전송회선의 연결이 옳게 된 것은?
a. 전화: 아날로그신호 - 아날로그회선
b. 모뎀: 디지털신호 - 디지털회선
c. 코덱: 디지털신호 - 디지털회선
d. DSU: 아날로그신호 - 아날로그회선
08. 케이블 모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a. 56Kbp 모뎀이나 ISDN에 비해 빠른 접속 속도를 보장한다.
b. 전화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c.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는 같다.
d. 케이블 TV가 사용하는 케이블망을 이용한다.
09. 다음 중 xDSL이 아닌 것은?
a. ADSL
b. KDSL
c. RADSL
d. VDSL
이후생략~
요약
01. 모든 데이터는 전송로로 내보내기 위해 일정한 전기 신호로 표현해야 하는데 이 작업을 부호화(encoding)라 한다.
02. 디지털-디지털 부호화는 0과 1로 표현된 디지털 정보를 적절한 규칙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표현하는 것이다.
• Unipolar 부호화: 0, 1을 표현하기 위해 (+)나 (-) 전압 중 하나만 사용
• Polar 부호화 하나의 논리 상태는 (+)로 다른 하나는 (-) 전압을 사용
• Bipolar 부호화: 하나의 논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 0, (+) 전압 모두를 사용
03. 어떤 속성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반송신호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고 한다. 이것을 전송 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복조(Demodulation)"라고 한다.
04. 디지털-아날로그 부호화 기법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ASK(Amplitude Shift Keying): 두 가지 2진수 값을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진 신호로 표현
• FSK(Frequency Shift Keying): 두 가지 2진수 값을 두 가지 다른 주파수로 표현
• PSK(Phase Shift Keying): 반송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표현
•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위상변조(PSK)와 진폭변조(ASK)의 복합형태
05.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에 맞는 신호로 변환 시켜주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 하고 수신측에서 다시 아날로그로 입력된 신호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야만 입력이 가능한데 이러한 것을 복조(Dermodulation)라고 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기를 변복조기라고 하며 영문자의 앞 글자를 빌어서 모뎀(MODEM)이라고 한다.
06.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데이터의 디지털화(digitization)라고 한다.
07.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기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이다.
08.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이 디지털 신호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구시키는 장치를 코덱(CODEC: COder-DECder)이라고 한다.
09. PCM(Pulse Coded Modulation) 과정: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받아서 다음의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 아날로그 신호의 PAM 신호 추출을 위한 표본화
• 표본화된 진폭의 양자화 (Quantization)
• 양자화된 PCM 펄스를 디지털 신호로 나타내기 위한 부호화(Encoding)
10. 아날로그-아날로그 부호화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원래의 대역과 다른 고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해당 고주파수 대역의 반송파(carrier signal)를 택해 이 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을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변화시키므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11. 아날로그-아날로그 부호화의 대표적인 세 가지 부호화 방법이다.
• AM(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반송파의 주파수나 위상은 그대로 두고 진폭만 변화시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
• 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입력신호에 반송파를 주파수에 의해서 변조하는 방식
• PM(Phase Modulation: 위상 변조): 입력신호와 반송파를 위상에 의해서 변조하는 방식
'Study_exam > 데이터 통신 연습문제 정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5장 연습문제 정답 (0) | 2023.10.29 |
---|---|
데이터통신 4장 연습문제 정답 (0) | 2023.10.29 |
데이터통신 3장 연습문제 정답 (0) | 2023.10.29 |
데이터통신 2장 연습문제 정답 (0) | 2023.10.29 |
데이터통신 1장 연습문제 정답 (1)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