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장: 전송효율화기술 본문
9.1 개요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
다중화
링크의 이용효율을 높임 |
압축기법
전송 시간을 줄이고 전송효율을 높임 |
9.2 다중화 기법
정의
여러 개의 저속 신호 채널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고속 링크로 전송
수신측에서 본래의 신호채널로 분리하여 전달
분류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하나의 회선을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
시분할 다중 방식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하나의 회선을 시간간격(time slot)으로 분할
코드분할 다중 방식 (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확산 대역(spread spectrum)을 이용하여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넓은 대역폭을 몇 개의 좁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사용
동작 과정
①각각의 신호 소스가 다중화 되어, 각 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 (f1,f2,...,f6) 로 변조하여 전송 |
②각 변조된 신호는 채널(Channel)이라고 하는 일정량의 대역을 할당 |
③보호 대역(Guard Band)을 사용하여 인접한 채널 간의 간섭을 막음 |
④수신부에서는 이 보호대역을 이용해 신호를 각각 분리 |
특징
고전적인 다중화 방법 |
아날로그 형태로 전송 |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 비해 비효율적 |
TV, AM, FM 방송과 유선방송에 많이 사용 |
시분할 다중 방식 (Time Division Multiplexing)
하나의 회선을 시분할하여 각각의 채널들이 타임슬롯(time slot)을 이용하여 전송
동작 과정
①다중화기는 각 터미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그것을 세그먼트들로 나눔 |
②각 세그먼트들을 고속의 공통채널 내에 번갈아가며 할당하는 작업 반복 |
③반대편에서는, 각 신호들이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개별신호로 분리 |
④분리된 신호는 각 터미널에게 보내짐 |
특징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 비해 각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함 |
가용 주파수 대역을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간간격을 조절하므로 융통성이 있음 |
동기식 TDM(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각 프레임 내에서의 타임슬롯(time slot)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
동작 과정
①각 단말장치를 통해서 생성된 일련의 정보들이 버퍼에 저장 |
②타임 슬롯이 할당될 때까지 각 터미널들은 버퍼에 생성된 정보들을 저장 |
③정해진 순서를 기다려 타임 슬롯이 할당되면 저장된 버퍼의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매체를 통해서 전송 |
④전송된 프레임은 수신부에서 정해진 순서대로 분리 |
버퍼에 저장되는 단위
비트 삽입식(bit-interleaving) –타임슬롯 크기가 비트단위 –버퍼의 크기가 작아도 됨 |
문자 삽입식(character interleaving) –타임슬롯 크기가 문자 단위 –수신측에서 문자를 재구성하는데 오버헤드가 불필요 |
통계적 TDM(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타임슬롯(time slot)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
동작 과정
①각 터미널에서 데이터가 발생하면 지정된 프레임 크기만큼 데이터를 모아 프레임 주소영역과 함께 임시버퍼로 저장 |
②가장 최근에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프레임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전송 |
③수신부에서는 수신된 프레임의 주소영역에 따라 프레임을 분리 |
동기식 TDM과 통계적 TDM의 비교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이 회선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 |
다중화 기법 비교
방 식 | 장 점 | 단점 |
동기식 TDM | •모든 프로토콜에 투명성을 가짐 | •타임슬롯, 즉 대역폭이 낭비 |
비동기식 TDM | •대역폭의 이용효율이 높음 | •흐름제어가 필요하며 흐름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에 의존적 •데이터 트래픽 발생비율이 고르게 분포되어있을 때 전송지연 및 성능저하 야기 |
코드분할 다중 방식 (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정의
필요한 대역폭 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으로 보내는 확산 대역 기술을 이용 |
잡음과 다중경로에 대한 면역성 |
동작 과정
①송신측에서는 PSK(Phase Shift Keying : 위상변조)와 FSK(Frequency Shift Keying :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여 일차 변조 |
②일차 변조된 신호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이차 확산 변조 |
③수신측에서는 확산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하여 이차 복조 혹은 역 확산 |
④역확산 된 신호는 송신측에서의 일차 확산된 신호와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일차복조 후 출력 |
Spread Spectrum의 기본 구조
CDM은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이야기하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음
장점
도청과 간섭을 방지 |
각 터미널에 개별 코드 할당 |
단점
수신부에서는 인코딩에 사용되는 코드를 알아야 함 |
배경잡음을 분리해야 하는 오버헤드 |
수신부는 디코딩을 적용하기 위해 송신부와 동기화를 이루어야 함 |
다중화 기술 적용 예
다중화 기술
|
적용 예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
|
▪ 구식 아날로그 전화망
▪ 아날로그 이동 전화(AMPS 등)
|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
|
▪ 전화망(PSTN)
▪ 전용회선(T1, E1 등)
▪ 동기 디지털 계위 전송망(SDH)
▪ 유럽 디지털 이동통신(GSM)
|
통계적 다중화(S-TDM) 방식
|
▪ LAN 등
▪ 인터넷(IP)
▪ 초고속 국가망(ATM, Frame Relay)
|
코드 분할 다중화(CDM) 방식
|
▪ 국내 디지털 이동통신
▪ 군용 무선통신(미국)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
|
▪ WiBro, WiMAX
▪ LTE, LTE-A
|
역 다중화(Inverse Multiplexing)
고속의 데이터 스트림을 여러 개의 낮은 속도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전송
동작 과정
①송신측에서 먼저 역다중화기가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회선들을 설정 |
②높은 비트 전송율의 디지털 스트림을 여러 개의 낮은 비트율의 회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회선만큼의 개수로 분할 |
③분할된 디지털 스트림은 각기 다른 회선을 통해 전송 |
④수신측에서는 분할되어 들어오는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기가 받아서 하나의 높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는 회선을 통해 수신측 터미널 장비로 전 송하기 위해 재조립 |
특징
역 다중화 과정에서 각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지연에 민감 |
각 채널의 호 설정 기능 요구 |
9.3 다중화 응용
디지털 서비스 계층 구조
종단 가입자에 연결된 64Kbps서비스부터 274.176Mbps 서비스 까지 5등급의 서비스 제공
Digital Signal Service
각 단계별 서비스 (외울 필요 X)
DS-0 : 64Kbps의 단일 디지털 채널을 제공 |
DS-1 : 1.544Mbps을 제공 - 24 배의 64Kbps 에 8Kbps의 오버헤드 |
DS-2 : 6.312Mbps을 제공 - 96 배의 64Kbps 에 168Kbps의 오버헤드 |
DS-3 : 44.376Mbps을 제공 - 672 배의 64Kbps 에 1.368Mbps의 오버헤드 |
DS-4 : 274.176Mbps을 제공 - 4032 배의 64Kbps 에 16.128Mbps의 오버 헤드 |
T 디지털 계층 (T-carrier)
펄스 부호화 변조(PCM) 및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를 사용
24개의 64Kbps 채널 들을 1.544 Mbps 광대역 신호에 실어 전송
북미 표준
T1 프레임구조
Digital Service와 T회선
표준 | Service | line | 속도(Mbps) | 채널수 |
북미 (North America) |
DS-1 | T1 | 1.544 (64*24 +8) |
24 |
DS-1C | 3.152 | 48 | ||
DS-2 | T2 | 6.312 (64*96 +168) |
96 (24 *4) | |
DS-3 | T3 | 44.736 (64*672 + 1368) |
672 (96*7) | |
DS-4E | 139.264 | 1920 | ||
DS-4 | T4 | 274.176 (64*4032 + 16128) |
4032 (672*6) |
E 디지털 계층
유럽의 전송 규격으로 32개의 채널(30 데이터 채널 + 2 신호 채널)을 그룹화 해서 사용
E1 프레임 구조
E 회선
표준 | Line | 속도 (Mbps) | 데이터 채널 수 |
ITU-T | E-1 | 2.048 | 30 |
E-2 | 8.448 | 120 | |
E-3 | 34.368 | 480 | |
E-4 | 139.264 | 1920 | |
E-5 | 565.148 | 7680 |
T 디지털계층과 E 디지털 계층의 다중화 구조
SONET/SDH
198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라는 이름으로 광통신 전송에 대한 표준화 시작
개요
SDH는 150Mbps급인데 비해 SONET는 50Mbps급
낮은 순위로 다중화 된 스트림을 합칠 때 클럭 신호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시간 차이를 보정해 주기 위해 각 프레임 사이에 조정비트를 삽입
높은 순위의 다중화를 준동기식다중화 또는 비동기식 다중화라 하고 이로 인한 높은 순위의 다중화 전송률을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라 함
서로 다른 계층적 전송 하부시스템에 따르는 문제 등을 해결
외형상 구조가 대단히 단순
동기식 디지털 계위
장점
한번의 다중화와 역 다중화를 통해서 가입자까지 데이터를 전송 |
중간신호는 다중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저속의 계위를 직접 수용 |
운용 및 보수(OAM :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가 용이 |
대역폭의 확장의 쉬움 |
SONET
STS-1의 프레임 단위로 전송
프레임은 transport 오버헤드와 payload 영역으로 구성
125ms 마다 위에서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프레임 전송
SONET STS-1 프레임 형식
SDH
최소 전송 프레임으로 STM-1 사용
Payload를 가상으로 구분
SDH VC-4 payload를 갖는 STM-1 프레임 형식
가상상자 (Virtual Container)
상이한 속도 및 구조에 특성화된 신호들의 수송 |
경로 오버헤드(POH: Path Overhead)와 상자(C: Container)로 구성 |
포인터 (Pointer)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수신되는 VC들을 수용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을 용이 |
전송 장비들의 클럭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속도차를 해결 |
SONET와 SDH의 비교
SONET 및 SDH의 전송속도
SONET | SDH | 선로 속도 (Mps) |
|
북미 STS level | 북미 OC(Optical Carrier) level | 유럽 STM level | |
STS-1 | OC-1 | - | 51.84 |
STS-3 | OC-3 | STM-1 | 155.52 |
STS-12 | OC-12 | STM-4 | 622.08 |
STS-48 | OC-48 | STM-16 | 2,488.32 |
STS-192 | OC-192 | STM-64 | 9,953.28 |
기본 전송 프레임이 SONET은 STM-1의 155Mbps, SDH는 50Mbps급의 차이
SDH는 체계적으로 다중화 하는 반면 SONET은 가상 계위 신호(VT:Virtual Tributary)라는 하나의 중간 단위 설정
SDH와 SONET은 모두 계층화 개념, 프레임 사용, 동일한 포인터 기법 등 개념 상의 차이는 없음
파장 분할 다중 방식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손실이 적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한 가닥의 광섬유에 다중화
특징
양방향 전송, 이종 신호의 동시 전송 가능 |
단일모드, 다중 모드 모두 사용 |
회선 증설이 용이, 대용량화 가능 |
네트워크 구조
방송 선택 네트워크 (Broad-and-Select Network)
보내는 신호가 다른 모든 노드로 전달, 수신할 노드는 전자 신호로 변환 |
성형 또는 버스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 |
파장 라우팅 네트워크 (Wavelength Routing Network)
논리적인 연결을 가지고 있는 두 노드 사이의 하나의 파장을 할당 |
겹치지 않는 경로에 대해 파장의 재사용 가능 |
9.4 데이터 압축
압축기법 분류방식
압축한 데이터의 복원성에 따른 분류
무손실(lossless) 기법
압축에서 복원한 데이터가 압축전의 데이터와 완전히 일치 |
압축할 데이터에 어떤 변경이나 수정을 가하지 않음 |
손실(lossy) 기법
복원한 데이터가 압축전의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음 |
연속매체를 압축하는데 적당 |
압 매커니즘에 따른 분류
Run-Length Encoding 방식
특정 문자나 데이터의 반복성을 이용 |
Difference Mapping
서로 인접한 데이터 값의 차이를 이용 |
패턴 치환 (Pattern Substitution)
자주 있는 패턴의 데이터 블록을 하나의 압축 부호어로 할당 |
허프만(Huffman) 기법
출현 빈도가 높은 문자에 짧은 부호, 낮은 문자에 긴 부호어 할당 |
LZW (Lempel-Ziv-Welch) 압축 기법
통계적 성질을 이용하여 일정 패턴을 생성해 압축 |
데이터 압축 기법
Packed decimal 압축기법
ASCII 코드 대신 BCD(Binary-coded-decimal)을 사용하여 한바이트로 두문자를 전송하여 압축 효과 •예) 7의 경우 ASCII 코드 “011 0111” , BCD 코드 “0111” 전송 |
Relative Encoding 압축기법
특정 기준 값과의 차이만을 전송 |
Character suppression 압축기법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문자들을 하나의 문자와 길이로 대체 •예) aaaaabbbbcccddddeeeee -> a5b4c3d4e5 |
허프만(Huffman) 방식
평균적인 코드의 길이를 줄이는 통계적인 압축방식
압축과정
① 각 문자의 출현 빈도수를 구함 |
② 출현 빈도가 가장 적은 문자들끼리 연결해 2진 트리를 만듬. 트리로부터 대표값을 얻음 |
③ 파일의 문자들을 대표값으로 압축파일 생성 |
문 자 | 빈 도 |
A | 2 |
B | 18 |
C | 9 |
D | 30 |
E | 9 |
F | 36 |
압축 과정 예
100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6개의 문자로 구성된 파일 |
각 문자의 출현빈도 |
가장 빈도수가 낮은 것을 묶어 하나의 노드를 만들고 빈도의 합을 구함 |
만들어진 노드를 새로운 문자로 간주하고 과정 반복 |
트리 구조를 완성한 뒤 각 문자에 고유의 대표 값(왼쪽 0, 오른쪽 1)을 부여 |
압축 전과 압축 후의 파일 크기 비교 |
문 자 | 빈 도 | 원래크기 | 압축된 크기 | 차이 |
A | 2 | 8*2=16 | 4*2=8 | 8 |
B | 18 | 8*18=144 | 2*18=36 | 108 |
C | 9 | 8*9=72 | 4*9=36 | 36 |
D | 30 | 8*30=240 | 2*30=60 | 180 |
E | 9 | 8*9=72 | 3*9=27 | 45 |
F | 36 | 8*36=288 | 2*36=72 | 216 |
계 | 104 | 104*8=832 | 240 | 592 |
빈도를 계산할 때와 실제로 압축할 때 파일을 두 번 읽어서 처리속도가 늦음
압축 파일과 트리에 대한 정보를 값이 저장하므로 효율이 낮음
LZW 압축기법
연속된 문자열들에 대한 표를 만들고 같은 문자열이 발견되면 표를 참조
압축 동작 과정
① 기억장소 내에 문자열에 대한 표를 만듬 |
② 파일에서 연속된 두 문자를 읽어 해당 문자열이 기억장소 내의 작성된 표에 존재하는지를 검사 |
③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문자열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출력파일 (압축파일)에는 해당 문자가 위치하는 주소를 기록 |
④ 문자열이 이미 기억장소 내에 존재한다면 출력파일에 그 문자열의 주소를 기록 |
장점
파일을 한번 읽으므로 속도가 빠름 |
트리에 대한 정보저장 필요가 없어 압축 효율이 높음 |
단점
파일의 크기가 작을 때는 효율이 떨어짐 |
파일의 다른 부분에 연속된 두 개의 문자열이 존재 하지 않을 때는 압축할 수 없음 |
정지/동영상 압축기법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과 가시성의 원리를 사용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ISO 산하 TC97/SC2 연구단체에서 제정
정지 영상을 처리
손실 기법과 무손실 기법을 수학적으로 구현
평균 25:1의 압축률
프레임에 모든 프레임에 대한 압축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
데이터 양이 많다는 단점
M-JPEG (Motion JPEG)
동영상의 한 프레임을 JPEG로 압축, 재생
MPEG에 비해 효능 및 화질이 떨어짐
H.261
동영상 압축 알고리즘
높은 압축률(100:1~2000:1)과 실시간 압축을 지원
ISDN 채널 용량은 64Kbps~1.92Mbps를 지원
MPEG (Moving Picture Expert Group)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의 압축, 해제에 대한 표준 개발
표준화 작업
MPEG1 : 저장매체의 동영상 압축표준 |
MPEG2 : 디지털 방송에 필요한 고화질 영상압축표준 |
MPEG4 : 사물이나 사람을 각각의 객체로 분할해 압축하고 표현하는 표준 |
MPEG7 :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표준 |
MPEG21 : MPEG 관련 기술을 통합하여 디지털콘텐츠 제작 및 유통, 보안 등의 모든 과정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기술 표준 |
기본 아이디어 :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적인 여분 내에 반복성 제거
MPEG-1
영상데이터를 1/10~ 1/20으로 압축 |
최소한 초당 1.5MB의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 해야 함 |
네트워크의 심한 부하를 초래 가능 |
MPEG-2
1/20~1/100의 데이터 압축률 |
1280*1024의 고해상도를 지원 |
데이터 전송시 6Mbps~11Mbps의 네트워크 지원이 필요 |
MPEG7
동영상 데이터 검색과 전자상거래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차세대 동영상 압축 기술 |
'Study_exam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장: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1) | 2023.12.06 |
---|---|
8장: 전송매체 (1) | 2023.11.13 |
7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2) | 2023.11.08 |
6장: 신호변환과 신호변환기 (0) | 2023.10.23 |
5장: 신호 (0)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