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상현실의 이해 10장 연습문제 본문

Study_exam/가상현실의 이해 연습문제

가상현실의 이해 10장 연습문제

godxxy1229 2024. 6. 19. 17:17

01. 메타버스란 무엇이며 가상현실과 어떻게 다른지 서술하시오.

- 메타버스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아우르는 더 포괄적인 개념

- 가상현실이 단방향 콘텐츠라면 메타버스는 양방향 콘텐츠

 

 


02. 메타버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배경을 서술하시오.

- 1992년 스티븐슨의 『스노 크래시』 에 처음 등장

 

 


03. 현재의 메타버스로 발전하기까지의 과정을 아는 대로 쓰시오.

- 1992년 스노 크래시 소설 발표 당시에는 소설의 배경 정도로 생각

- 2003년 린든 랩에서 가상현실 서비스 "세컨드 라이프"를 내놓으며 재조명

- 2010년에 접어들며 모바일 혁명으로 세컨드 라이프의 인기가 시들해짐

- 현재는 차세대 인터넷을 주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블록체인과 융합하는 길이 열리며 새로운 형태의 가상현실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음.

 

 


04. 메타버스가 차세대 인터넷을 주도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기술을 통해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한편 현실의 시공간 제약을 해소해 새로운 경험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불리는 Z세대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음.

 

 


05. 메타버스 산업 기반 기술의 네 가지 유형을 나열하고 사례를 들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구분 정의 사례
증강현실(AR) 현실 공간에 가상의 물체를 겹쳐 상호작용하는 환경 포켓몬 고
라이프 로깅 사물과 삶에 대한 경험과 정보를 저장, 가공, 공유, 생산, 거래하는 기술 애플워치
거울세계 현실세계를 그대로 반영하되, 정보적으로 확장된 가상세계 구글어스, 에어비엔비
가상세계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한 가상세계 리니지, 제페토

 

 


06. 최근 메타버스 기반 기술을 활용해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휴먼에 대해 설명하고,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사례를 드시오.

-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람’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제 인간을 대변하는 아바타와 실존하지 않는 가상인간 두 종류로 볼 수 있음.

- 사례: Brud의 릴 미켈라, Aww의 이마, LG의 김래아

 

 


07. 메타버스가 IP와 만나 성공한 사례를 아는 대로 서술하시오.

기업 및 기관 내용
구찌 SNS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와 제휴해 구찌 IP를 활용한 아바타 패션 아이템 출시 브랜드 홍보 전용 공간 구축
루이비통 게임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인 LOL과 제휴해 루이비통 IP를 활용한 LOL 캐릭터 의류, 신발, 가방, 액세 서리 등 총 47종 아이템 제작 출시
나이키 제페토 포트나이트와 협력해 아바타 신발 등 패션 아이템 출시
YG, JYP 제페토에 소속 연예인(블랙핑크, 트와이스)에 특화된 전용 가상공간을 만들고 사인회 공연 등 이벤트 개최
디즈니 제페토에서 겨울왕국 캐릭터를 활용한 아바타 출시, 포트나이트에서 마블 캐릭터를 활용한 아바타 의상 등 아이템 출시
LG전자 게임 기반 메타버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동물의 숲 게임 공간에 LG 올레드 TV를 소개하고 게임 이벤트 등을 개최하는 올레드 성(OLED ISLAND) 마련
다이아TV 다이아TV 유튜버의 제페토 진출
순천향대 SKT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점프 VR 내에 순천향대학교 본교 대운동장을 구현하고 입학식 진행
한국관광공사 제페토에 익선동, 한강공원 등 서울의 관광지를 모사한 가상공간을 만들고, 제페토 해외 이용자를 대상 으로 한국여행 홍보 이벤트 진행

 

 


08.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아는 대로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 마인크래프트, 로블록스, 제페토, 포트나이트,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 호라이즌, 스타라인, 게더타운

 

 

 

09. 최근 메타버스로 인해 새롭게 출현한 직업에 대해 설명하고, 메타버스 시대로 전환함에 있어 개인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서술하시오.

- 메타버스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는 직업, 창업과 같은 새로운 기회를 발굴·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